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부 소상공인 지원 방안 발표!

by deep1 2025. 10. 25.

💼 중기부, ‘소상공인 회복 및 안전망 강화’ 10번째 간담회 개최

부실 전 선제 지원부터 재기까지, 소상공인 맞춤형 종합대책 발표

소상공인의 회복과 재기를 위한 정부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는 10월 15일(수),
‘소상공인 회복 및 안전망 강화’를 주제로 열 번째 간담회를 개최하고
새로운 소상공인 회복 및 재기 지원방안을 발표했습니다.

 

 


🗓️ 소상공인 정책 간담회, 10번째 시리즈 마무리

이번 간담회는 그동안 진행된 9차례의 시리즈 간담회를 마무리하는 자리로,
그동안 현장에서 수집된 100건의 소상공인 의견
74건이 정책에 반영, 50건은 내년 상반기까지 구체적 개선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중기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소상공인의 부실 예방·재기 지원·위기 안전망 구축
전 주기적 지원체계를 한층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 ‘소상공인 회복 및 재기 지원방안’ 주요 내용

이번 정책의 핵심은 다음 네 가지 방향으로 요약됩니다.


① 부실 확대 전, 선제적 지원 강화

그동안의 재기정책은 ‘폐업 후 지원’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부실 위험이 감지되기 전 단계에서 미리 대응하는 체계로 전환됩니다.

  • 대출 소상공인 약 300만 명 대상 부실 위험 모니터링
  • 위험 신호 발견 시 즉시 알림 및 맞춤형 지원안내 제공
  • 정보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조기 대응 강화

👉 즉, ‘문 닫고 나서’가 아니라 ‘문 닫기 전에’ 미리 지원하는 체계로 바뀝니다.


② 부실·폐업 소상공인에 재기 종합지원

재기지원과 채무조정이 따로따로 이루어지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하나의 창구에서 원스톱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연계합니다.

  • 중기부의 **‘폐업·재기지원시스템’**과
    금융위원회·복지부·고용노동부의 **‘금융·복지·취업 지원 시스템’**을 연동
  • 재기상담 시 타 기관 지원도 한 번에 연계

👉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도 기관을 전전하지 않고 한 번에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③ 단계별 지원 강화로 재기 기회 확대

폐업 후에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단계별 재기 지원체계를 강화합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 확대 (고용노동부 협력)
  • 폐업 후 취업·근속 시 대출 상환기간 연장 및 금리 0.5%p 인하
  • 재창업 희망자에 대한 선별적·두터운 지원 확대

💡 즉, 단순한 ‘폐업 지원’을 넘어
소상공인이 취업 또는 재창업을 통해 재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줍니다.


④ 다양한 위험에 대비한 안전망 확충

소상공인의 경영 불안을 덜기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도 추진됩니다.

  •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 확대
  • 노란우산공제 세제 완화 및 납입한도 상향
  • 재난피해 소상공인 지원 보완 및 영세 소상공인 경영안정 바우처 신설

이를 통해 갑작스러운 매출 감소나 재난 상황에서도
소상공인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으로

이번 행사에서는 간담회를 통해 제시된 의견 중
정책에 반영되어 실제로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된 우수 건의 사례를 시상하는 시간도 있었습니다.

한성숙 장관은

“9차례의 시리즈 간담회를 통해 발표된 정책들이 현장의 변화를 만들고,
소상공인의 회복과 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라고 밝혔습니다.




📝 마무리

이번 중기부의 지원방안은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소상공인의 부실 예방 → 폐업 대응 → 재기 지원으로 이어지는
전 주기적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현장의 의견이 실제 정책으로 반영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소상공인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더욱 기대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